일론 머스크는 약물을 했을까? 그리고 왜 이런 의혹이 생겨난걸까? (2025 7월)
2018년 조 로건 팟캐스트에서 시작된 논란이 2025년 현재 그의 사업 제국 전체를 위협하고 있다. Wall Street Journal과 New York Times의 집중 보도로 드러난 충격적인 사실들은 단순한 개인적 취향을 넘어 Tesla와 SpaceX의 미래까지 흔들고 있으며, 특히 케타민 일일 복용으로 인한 방광 손상과 20개 알약이 든 약통 휴대 등 구체적인 증거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논란의 핵심에 서 있다.
모든 것의 시작, 2018년
2018년 9월 6일 조 로건 팟캐스트 출연이 약물 사용 의혹의 공식적인 출발점이 되었다. 당시 머스크는 생방송 중 대마초가 포함된 담배를 흡연했고 "합법이니까 괜찮지 않나?"라고 발언했다. 이 장면은 Tesla 주가를 9% 폭락시켰고, NASA가 SpaceX에 대한 안전 검토와 500만 달러 규모의 약물 방지 교육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그보다 한 달 전인 2018년 8월 7일 "Funding Secured" 트윗에서 시작되었다. 머스크가 "Tesla를 주당 420달러에 비공개 전환 고려 중. 펀딩 확보됨"이라고 트윗했는데, $420이라는 숫자가 대마초 은어를 연상시키면서 Tesla 이사회 일부가 그가 약물 상태에서 트윗했을 가능성을 우려했다고 Wall Street Journal이 보도했다.
충격적인 약물 목록과 구체적 증거들
가장 논란이 된 케타민 사용
머스크가 직접 인정한 유일한 약물이 케타민이다. 2024년 3월 Don Lemon 인터뷰에서 "2주에 한 번, 소량" 의료용 케타민을 사용한다고 공개했다. 하지만 2025년 New York Times 보도에 따르면 2024년 대선 캠페인 기간 중 거의 매일 케타민을 사용해 방광에 영향을 줄 정도였다고 주변인들이 증언했다.
의학적 증거도 이를 뒷받침한다. 국립보건연구원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빈번한 케타민 사용은 비뇨기계에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며, 옥스포드 대학 정신과 교수 Dr. Rupert McShane은 "케타민은 의료 감독 하에서만 사용되어야 하며, 자가 치료하는 사람들은 더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경고했다.
기타 의심 약물들과 물적 증거
Wall Street Journal과 New York Times의 조사에 따르면 머스크는 LSD, 코카인, 엑스터시, 환각 버섯, 아데랄 등 다양한 약물을 사용했다는 다수의 목격자 증언이 나왔다. 특히 약 20개 알약이 들어있는 일일 약통을 휴대하는 모습이 포착되었고, 이 중에는 아데랄 표시가 있는 자극제도 포함되어 있었다.
구체적인 사용 장소와 상황:
- 2018년 로스앤젤레스 파티에서 LSD 여러 탭 사용 목격
- 2019년 멕시코 파티에서 환각 버섯 사용 목격
- 참석자들이 비밀유지계약서에 서명하고 휴대폰을 제출해야 하는 사적 파티에서 복합 약물 사용
공식 조사와 검사 결과의 모순
NASA와 정부 기관의 대응
2018년 Joe Rogan 팟캐스트 이후 NASA는 SpaceX에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 머스크와 SpaceX 직원들은 1년간 무작위 약물 검사를 받았고, 머스크는 "3년간 무작위 검사에서 미량도 검출되지 않음"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New York Times는 머스크가 무작위 약물 검사 일정을 사전에 통보받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2025년 약물 검사 결과와 타이밍 의혹
2025년 6월 17일 머스크는 Fastest Labs of South Austin에서 실시한 약물 검사 결과를 공개했다. 6월 11일 채취된 소변에서 케타민, 엑스터시, 코카인, 암페타민 등 모든 항목에서 음성 반응이 나왔다. 하지만 이는 New York Times 보도(5월 30일) 12일 후에 실시된 검사였고, 소변 검사는 대부분 약물을 2-10일 내에만 검출할 수 있어 타이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머스크의 해명, 부인, 그리고 모순
머스크의 대응은 일관성이 없고 모순적이다. 2025년 5월 31일 X(트위터)에 "분명히 말하지만, 나는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 뉴욕타임스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게시했지만, 바로 다음 문장에서 "몇 년 전 처방된 케타민을 시도했고... 그 이후로는 복용하지 않았다"고 말해 앞뒤가 맞지 않았다.
백악관에서의 회피적 태도도 주목할 만하다. 2025년 5월 30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폭스뉴스 기자가 약물 사용에 대해 질문하자 "뉴욕타임스? 러시아게이트에 대한 허위 보도로 퓰리처상을 받은 그 출판사 말인가?"라며 질문을 회피하고 "넘어가자"며 추가 질문을 거부했다.
언론과 전문가들의 날카로운 분석
기업 지배구조 전문가들의 경고
William Klepper 컬럼비아 경영대학원 교수는 "Tesla 이사회의 수탁 책임 이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고, Charles Elson 와인버그 센터 연구원은 "약물이 CEO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주장은 헛소리"라고 단언했다. Stephen Diamond 산타클라라대학교 교수는 "집단소송 변호사들에게 무기를 제공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사회의 무기력한 대응
가장 충격적인 것은 Tesla 이사회의 방관적 태도다. 전 Tesla 이사 Linda Johnson Rice는 머스크의 약물 사용에 대한 우려로 2019년 재선을 포기했고, 이사회에 공식 조사를 제안했으나 무시당했다. 전문가들은 이사회가 "천재를 방해한다는 비난을 두려워해" 적극적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업 제국에 미친 치명적 타격
Tesla 주가 50% 폭락의 충격
Tesla 주가는 2024년 12월 최고점 487.87달러에서 2025년 6월 현재 약 220-254달러 수준으로 50% 이상 급락했다. 시가총액이 한때 1.4조 달러에서 약 840억 달러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2025년 현재까지 -36%~-41% 하락률을 기록하며 2017년 이후 최악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유럽 시장에서의 보이콧 현상도 심각하다. 독일에서 60%, 스페인에서 75% 판매가 감소했으며, 중국에서는 BYD에 시장 1위 자리를 완전히 내주었다.
SpaceX의 상대적 안정성과 위험 신호
SpaceX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2024년 12월 350억 달러 밸류에이션으로 45% 상승했고, NASA와 국방부 계약도 지속 유지하고 있다. NASA는 2025년 6월 "SpaceX가 약물 및 알코올 금지 직장 규정을 위반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2025년 6월 트럼프와의 갈등으로 위험 신호가 나타났다. 트럼프가 머스크와 갈등 후 "정부 계약 및 보조금 중단"을 위협했고, 머스크는 Dragon 우주선 운항 중단을 경고하기도 했다(후에 삭제).
2025년 현재, 논란의 최전선
정치적 역할과 새로운 갈등
머스크는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 정부효율성부(DOGE) 리더로 활동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하지만 6월 예산안 반대로 트럼프와 공개 갈등을 벌이며 "정치에 훨씬 적게 지출할 것"을 선언했다.
의회의 지속적인 압박
하원 감시개혁위원회의 스티븐 린치 의원이 주도하는 조사가 진행 중이다. 2025년 6월 4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머스크의 약물 사용 정보를 요청하는 서한을 발송했고, 국방부 장관, 백악관 비서실장, 국가정보국장, FBI 국장에게도 관련 정보를 요구했다.
미키 셰릴 하원의원은 특별정부직원들의 의무 약물 검사를 요구하는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며, 이는 DOGE 직원들을 대상으로 불법 약물 양성 반응 시 1년간 연방 공직 금지 규정을 포함한다.
현재 상황은 일론 머스크의 개인적 논란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임계점에 도달했음을 보여준다. 약물 사용 의혹 자체보다도 정치적 논란과 예측 불가능한 행동 패턴이 더 직접적인 사업 타격을 주고 있다.
핵심 발견사항:
- Tesla의 브랜드 손상은 구조적 문제로 발전했으며, 유럽과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의 보이콧이 현실화되고 있다
- 이사회의 견제 기능 부재가 리스크 관리 실패로 이어져 ESG 투자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다
- 정부 계약 의존도가 높은 SpaceX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정치적 갈등으로 위험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 기업 지배구조 개선 없이는 지속적인 리스크 요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투자자들에게는 머스크 개인의 행동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과도하다는 점이 최대 우려사항이다. 혁신 역량과 경영 리스크 간의 trade-off가 심화되고 있으며, 향후 이사회의 독립성 강화와 리스크 관리 체계 개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