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GPU가 macOS, iOS, iPadOS, visionOS에서 지원된다고?

오늘 이 글을 쓰는 이유는 간단하다. 지난 몇 년간 기다리고 또 기다렸던 WebGPU가 드디어 Safari에 정식으로 상륙했기 때문이다. 2025년 6월 현재, iPhone에서도, iPad에서도, Mac에서도 WebGPU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하고 싶었다.

솔직히 말하면, 애플이 이렇게까지 오래 끌 줄은 몰랐다. Chrome에서는 이미 2023년부터 WebGPU를 지원하고 있었는데, Safari는 계속 'Soon™' 상태였으니까. 하지만 이번 WWDC25에서 모든 것이 바뀌었다.


WebGPU가 뭐길래 이렇게 난리야?

먼저 WebGPU가 뭔지부터 짚고 넘어가자. 쉽게 말해서 웹브라우저에서 그래픽카드의 진짜 성능을 끌어낼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기존의 WebGL은 솔직히 좀... 아쉬웠다. OpenGL 기반이다 보니 요즘 GPU들의 성능을 제대로 못 뽑아냈거든. 반면 WebGPU는:

  • 진짜 빠르다 - GPU 성능을 거의 100% 활용 가능
  • 범용 연산도 된다 - 그래픽스뿐만 아니라 AI, 머신러닝 연산도 가능
  • 안전하다 - WGSL이라는 새로운 셰이딩 언어로 보안 이슈 해결
  • 미래지향적 - Vulkan, Metal, DirectX 12 같은 최신 GPU API들과 직접 연결

한마디로 웹에서도 네이티브 앱 수준의 그래픽 성능을 낼 수 있게 된 거다.


애플은 왜 이렇게 늦었을까?

사실 애플이 WebGPU 개발에 뒤처진 건 아니다. 오히려 WebGPU 표준 자체가 애플의 Metal API를 기반으로 시작된 거였다. 2017년에 애플이 W3C에 제안한 게 WebGPU의 시초였으니까.

그런데 왜 정작 Safari에서는 이렇게 늦었을까? 내 생각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 보안에 대한 강박 - 애플은 특히 iOS에서 보안을 극도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 완벽주의 - 반쪽짜리로 내놓느니 완전한 걸 내놓겠다는 철학
  • 생태계 고려 - App Store와의 경쟁 관계도 무시할 수 없었을 것

어쨌든 기다림은 끝났다.


2025년 6월 현재 상황은?

WWDC25에서 발표된 내용을 정리해보면:

✅ 공식 지원 플랫폼

  • macOS Tahoe 26 - Safari 26 베타에서 기본 활성화
  • iOS 26 - 드디어 아이폰에서도 사용 가능
  • iPadOS 26 - 아이패드의 강력한 성능을 웹에서도 활용
  • visionOS 26 - Vision Pro에서도 WebGPU 지원

🔧 기술적 구현의 특징

애플다운 구현이라고 해야 할까. WebGPU API가 Metal과 거의 일대일로 매핑된다고 한다. 이게 뭔 소리냐면:

  • 번역 오버헤드 거의 없음 - 다른 플랫폼처럼 복잡한 변환 과정이 필요 없다
  • 네이티브 수준 성능 - Metal 성능 그대로 웹에서 사용 가능
  • 최적화 용이 - Metal 개발 경험이 그대로 활용 가능

실제로 WWDC 세션에서 "Metal에 익숙하면 집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 좋은 점들

  • 성능이 진짜 좋다 - Three.js로 만든 3D 씬이 부드럽게 돌아간다
  • 발열이 예상보다 적다 - iPhone에서도 크게 뜨거워지지 않는다
  • 안정성 괜찮다 - 크래시는 거의 경험하지 못했다
  • 개발자 도구 지원 - Web Inspector에서 디버깅 가능

👎 아직 아쉬운 점들

  • 베타라서 그런지 가끔 버그 - 특정 상황에서 렌더링 이상
  • 배터리 소모 - 아무래도 GPU를 많이 쓰다 보니...
  • 호환성 문제 - 아직 모든 WebGPU 예제가 완벽하게 동작하지는 않음


개발자 입장에서 뭐가 달라질까?

솔직히 말하면, 게임 체인저다. 지금까지 웹에서는 꿈도 못 꾸던 일들이 가능해진다:

🎮 게임 개발

  • 콘솔급 그래픽 - 웹브라우저에서도 AAA급 게임 가능
  • 복잡한 물리 엔진 - GPU 가속으로 실시간 시뮬레이션
  • 대용량 데이터 처리 - 절차적 생성, 월드 스트리밍 등

🤖 AI/ML 애플리케이션

  • 실시간 추론 - 브라우저에서 직접 AI 모델 실행
  • 이미지/비디오 처리 - 실시간 필터, 효과 적용
  • 데이터 분석 - 대용량 데이터셋 실시간 시각화

🎨 창작 도구

  • 실시간 렌더링 - Blender 수준의 3D 편집기 웹에서 구현
  • 이미지 편집 - Photoshop급 성능의 웹 앱
  • 음악/영상 편집 - GPU 가속 미디어 처리


현재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들

이미 주요 웹 그래픽스 라이브러리들이 Safari 26에서 정상 동작한다고 확인되었다:

  • Three.js - 가장 인기 있는 웹 3D 라이브러리
  • Babylon.js - 마이크로소프트의 3D 엔진
  • Unity - 유니티 웹 빌드도 WebGPU로 동작
  • PlayCanvas - 게임 엔진
  • Transformers.js - 허깅페이스의 AI 라이브러리
  • ONNX Runtime - 마이크로소프트의 AI 런타임

특히 Three.js로 만든 실시간 해파리 애니메이션이 Safari에서 엄청 부드럽게 돌아가는 걸 보고 감탄했다.


다른 브라우저들과 비교하면?

지금까지의 상황을 정리해보면:

🏆 Chrome/Edge (2023년 4월~)

  • 장점: 가장 먼저 지원, 안정적, 광범위한 플랫폼 지원
  • 단점: 애플 플랫폼에서는 결국 Metal로 변환되어야 함

🐘 Firefox (실험 단계)

  • 현재: 실험적 지원만 가능
  • 미래: wgpu 기반 구현이지만 완전한 스펙 준수까지는 몇 년 더 필요

🍎 Safari (2025년 6월~)

  • 장점: Metal과 직접 연결로 최고 성능, 애플 생태계 완벽 통합
  • 단점: 늦은 출시, 아직 베타 단계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할까?

당장 프로덕션에 쓰기에는 아직 이르지만, 준비는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점진적 향상 전략

javascript// 기본적인 WebGPU 감지 코드
async function initGraphics() {
if (navigator.gpu) {
try {
const adapter = await navigator.gpu.requestAdapter();
if (adapter) {
const device = await adapter.requestDevice();
// WebGPU 사용
return initWebGPU(device);
}
} catch (error) {
console.log('WebGPU 초기화 실패:', error);
}
}

// WebGL 폴백
return initWebGL();
}


현재 수동 활성화 방법 (iOS 17.4+)

아직 정식 출시 전이라 iOS에서는 수동으로 활성화해야 한다:

  1. 설정Safari고급웹 개발자용 기능 표시 체크
  2. WebKit Feature Flags 진입
  3. WebGPU 옵션 활성화
  4. Safari 재시작

좀 번거롭긴 하지만, 테스트해볼 수 있다는 게 어디야.


미래 전망은?

솔직히 기대가 크다. WebGPU가 완전히 정착하면:

단기적으로 (1~2년)

  • 웹 게임의 품질 대폭 향상 - 네이티브 게임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
  • AI 웹 앱 활성화 - ChatGPT 같은 서비스를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
  • 창작 도구의 웹 이전 - Adobe, Autodesk 등의 웹 버전 강화

장기적으로 (3~5년)

  • 네이티브 앱의 웹 전환 - 성능 차이가 거의 사라짐
  • 새로운 웹 경험 - VR/AR, 실시간 협업, 클라우드 렌더링
  • 개발 패러다임 변화 - 웹 퍼스트 개발이 더욱 현실적이 됨


개인적인 생각

오랫동안 기다려온 만큼, 애플의 WebGPU 지원은 정말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특히 iPhone과 iPad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고성능 그래픽스를 웹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 건 혁신적이다.

물론 아직 베타 단계라 완벽하지는 않다. 하지만 애플이 보여준 Metal과의 통합 수준을 보면, 정식 출시 후에는 정말 강력한 도구가 될 것 같다. 웹 개발자로서 이런 순간을 경험할 수 있어서 흥미롭다. 10년 전만 해도 웹에서 이런 수준의 그래픽스를 구현한다는 건 상상도 못 했는데, 이제는 현실이 되었으니까. (하지만 늦은건 좀 혼나야..)

2025년 하반기, Safari 26이 정식 출시되면 웹 생태계에 또 한 번 큰 변화가 일어날 것 같다. 그때까지 열심히 공부하고 준비해야겠다.

©YozmBlog
koenjaes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