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 Kit과 Claude Code 같이 사용해서 성능 끌어올리기
3줄 요약
- 즉흥적인 '바이브 코딩'을 넘어 체계적인 '명세 중심 개발'로 전환하면 재작업과 버그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GitHub의 Spec Kit과 Anthropic의 Claude Code를 결합하면 AI를 진정한 개발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개발자는 코드 작성자에서 프로젝트 설계자이자 AI 지휘자로 역할이 진화하며, 토큰 비용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AI 챗봇에게 "웹사이트 만들어줘"라고 던지고 기대에 찬 눈으로 결과를 기다린 경험이 있으신가요? 처음엔 마법처럼 보이지만, 곧 의도와 다른 결과물에 실망하고 끝없는 수정 작업에 지치게 됩니다. 이제는 이런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을 졸업하고, GitHub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Spec Kit과 Anthropic의 강력한 Claude Code를 활용한 체계적인 개발 방법론으로 진짜 AI 시대의 개발자가 되어보세요.
바이브 코딩의 한계, 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한가
즉흥적 프롬프트가 만드는 문제들
최근 AI 챗봇의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많은 초보 개발자들이 즉흥적인 명령어를 입력하는 '바이브 코딩'에 익숙해졌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작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실험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한계를 노출합니다.
즉흥적인 프롬프트의 문제점:
- 개발자의 진정한 의도를 담지 못함
- 겉보기에만 작동하는 불완전한 코드 생성
- 프로덕션 환경에 부적합한 기술 스택 선택
- 잦은 재작업과 예상치 못한 오류 발생
명세 중심 개발(Spec-Driven Development)의 가치
AI 시대에 다시 주목받는 '명세 중심 개발'은 "못을 박기 전에 집의 상세한 청사진을 만드는 것"에 비유됩니다. AI가 최상의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모호하고 단편적인 프롬프트가 아닌, 프로젝트의 모든 목표, 구조, 요구사항을 담은 '심도 있는 맥락(Deep context)'과 '단일 진실 공급원(Single source of truth)'이 필수적입니다.
특성 | 바이브 코딩 | 명세 중심 개발 |
---|---|---|
개발 방식 | 즉흥적인 프롬프팅 기반 | 체계적인 명세 및 계획 기반 |
중심 아티팩트 | 즉시 생성된 코드 | 상세한 명세(Specification) |
개발자 역할 | 코딩 실행자 | 프로젝트 설계자, 품질 검토자 |
결과물 특징 | 의도와 다른 결과, 재작업 빈번 | 의도와 일치하는 고품질 코드 |
적합한 상황 | 간단한 기능 실험 | 복잡한 기능, 레거시 시스템 현대화 |
Spec Kit: GitHub가 선물한 명세 중심 개발 도구
Spec Kit이란 무엇인가
Spec Kit은 명세 중심 개발 방법론을 AI 워크플로에 통합하기 위해 GitHub가 오픈 소스로 공개한 툴킷입니다. GitHub Copilot, Claude Code, Gemini CLI와 같은 다양한 AI 에이전트와 함께 작동하여 개발 프로세스에 구조와 질서를 부여합니다.
Spec Kit의 핵심 혁신:
- 도구 자체가 아닌 '프로세스(the process)'에 집중
- 개발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재작업을 최소화
- "가정 기반 코딩(assumption-based coding)" 문제 해결
- "명세가 언어의 공통어(Lingua Franca)가 된다"는 철학
개발자 역할의 진화
Spec Kit과 같은 도구의 등장은 개발자의 역할이 코딩 노동자에서 프로젝트의 '설계자'이자 '품질 관리자'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용자의 주요 역할은 "지휘(steer)"하는 것이며, AI는 "대부분의 코딩을 수행"합니다.
Claude Code: 터미널 속 강력한 AI 파트너
단순 챗봇을 넘어선 진짜 AI 에이전트
Claude Code는 '에이전트적 검색(Agentic search)' 기능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컨텍스트 파일을 선택할 필요 없이 "코드베이스 전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으로 여러 파일에 걸친 복잡한 변경사항을 조정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며, 테스트를 생성하고, 버그를 수정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합니다.
Claude Code의 주요 특징:
- VS Code와 JetBrains IDE에 직접 통합
- 프로젝트 구조와 기존 패턴 파악
- 복사-붙여넣기 없이 바로 코드 구성
- "명시적인 승인 없이는 파일을 절대 수정하지 않음"
MCP(Multi-Context Prompting)의 힘
Claude Code의 MCP는 기존의 일회성 프롬프트 방식과 차별화되는 핵심 기능입니다. 동시에 여러 컨텍스트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어, 복잡한 프로젝트에서도 일관성 있는 코드를 생성합니다.
Spec Kit + Claude Code: 최강의 시너지 효과
두 도구의 결합이 만드는 구체적 이점
1. 버그 및 재작업 감소 명확한 명세는 모호함을 줄여 논리적 결함을 디자인 단계에서 미리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합니다.
2. 유지보수성 향상 명세는 프로젝트의 '살아있는 문서(living artifact)'가 되어, 요구사항 변경 시 명세를 먼저 업데이트하고 AI가 관련 코드를 재생성하도록 하면 코드 드리프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AI의 진정한 잠재력 발휘 견고한 명세를 기반으로 AI는 포괄적인 테스트를 생성하고, 다른 기술 스택으로 구현을 전환하며, 프레임워크 업그레이드나 보안 패치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복잡한 문제 해결
- Greenfield (새 프로젝트)
- Feature work (기존 시스템 기능 추가)
- Legacy modernization (기술 부채가 쌓인 시스템 재구축)
실전! Spec-Driven 개발 4단계 워크플로
환경 설정 및 필수 요구사항
필수 환경:
- Linux/macOS 또는 WSL2
- Python 3.11+
- uv
- Git
주요 명령어:
/specify
: 프로젝트 목표와 사용자 여정 정의/plan
: 기술적 구현 계획 생성/tasks
: 계획을 실행 가능한 작업으로 분할/implement
: 실제 코드 작성
4단계 상세 프로세스
단계 | 목표 | 사용자 역할 | AI 역할 | 주요 명령어 |
---|---|---|---|---|
Specify | 프로젝트의 무엇과 왜를 정의 | 고수준 설명 제공, AI 명세 검토 및 수정 | 상세 명세 초안 생성 |
|
Plan | 기술적 구현 계획 수립 | 아키텍처 및 기술 스택 제안, AI 계획 검토 | 명세 기반 기술 계획 생성 |
+
|
Tasks | 계획을 실행 가능한 단위로 분할 | AI 태스크 목록 검증, TDD 전략 적용 | 작고 테스트 가능한 태스크로 분할 |
|
Implement | 실제 코드 생성 및 검증 | AI 코드 검토 및 명시적 승인 | 각 태스크에 맞는 코드와 테스트 생성 |
|
프롬프트 작성 전략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 팁:
- "보고서 써줘" → "A4 2장 분량의 시장 분석 보고서"
- "차근차근 생각해보자"와 같은 단계별 사고 유도
think
또는think harder, think long
명령어로 깊은 사고 유도- TDD(Test-Driven Development) 전략 적극 활용
비용 효율적인 AI 코딩: 토큰 관리의 기술
Claude Code 요금제 이해하기
요금제 | 월 가격 | 예상 사용량 (5시간 기준) | 접근 가능 모델 | 적합한 사용자 |
---|---|---|---|---|
Pro | $20 | Claude: 약 45 메시지<br>Claude Code: 약 10~40 프롬프트 | Sonnet 4 | 1,000줄 이하 소규모 프로젝트 |
Max 5x | $100 | Claude: 약 225 메시지<br>Claude Code: 약 50~200 프롬프트 | Sonnet 4, Opus 4 | 중규모 코드베이스 일상 작업 |
Max 20x | $200 | Claude: 약 900 메시지<br>Claude Code: 약 200~800 프롬프트 | Sonnet 4, Opus 4 | 대규모 코드베이스 파워 유저 |
API | 종량제 | 사용량에 따라 가변적 | 모든 모델 | 집중적인 코딩 스프린트 |
토큰 절약 전문가 팁
1. 대화 압축
/compact
명령어로 대화 기록 압축/clear
로 새로운 주제 시작
2. 파일 참조
- 전체 파일 붙여넣기 대신 파일 경로 참조
- 불필요한 토큰 소모 방지
3. 간결한 프롬프트
- 긴 설명: "인증 구현 시, 입력값 검증, 적절한 오류 처리, 안전한 토큰 저장 등 보안 모범 사례를 따르고..."
- 간결한 요약: "인증 코드: 입력 검증, 오류 안전 처리, auth/ 패턴 준수"
초보자가 자주 겪는 문제와 해결책
문제 1: 긴 대화로 인한 문맥 상실
해결책:
- 정기적으로
/compact
명령어 사용 - 다른 주제 작업 시
/clear
로 새 대화 시작 - 파일 경로 참조로 토큰 낭비 감소
문제 2: CLAUDE.md 파일 간 규칙 충돌
우선순위 규칙:
- 폴더별 규칙 (
./src/auth/CLAUDE.md
) - 최고 우선순위 - 프로젝트 규칙
- 개인 설정 (
~/.claude/CLAUDE.md
) - 최저 우선순위
문제 3: 커스텀 명령어 작동 오류
체크리스트:
- 파일 이름 정확성 확인 (
.claude/commands/my-command.md
) - 하이픈(
-
) 사용 여부 확인 - 파일 내용에 실제 명령어 포함 확인
체계적 개발이 가져올 미래
Spec Kit과 Claude Code의 결합은 단순한 기술 조합을 넘어 개발 방식 자체의 혁신을 상징합니다. 즉흥적인 '바이브 코딩'은 AI를 단순히 코드를 대신 작성하는 도구로만 사용하지만, Spec-driven 개발은 AI를 프로젝트의 성공을 이끄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활용합니다.
이 새로운 워크플로를 통해 개발자는 코드를 빠르게 '생산'하는 것을 넘어, 프로젝트의 '방향'을 설정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역할로 진화합니다. 명세 중심 개발은 이제 선택이 아닌, AI 시대의 필수 역량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