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해서 게임 서버 열기

3줄 요약:

  1. SKT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으로 마인크래프트 등 게임 서버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단일 공유기는 한 번만, 이중 공유기 환경에서는 브릿지 모드 설정이나 두 번의 포트포워딩이 필요합니다
  3. 설정 후 온라인 포트 체크 사이트로 정상 작동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친구들과 마인크래프트나 다른 게임을 즐기려고 서버를 열었는데, 집 밖에서는 접속이 안 되시나요? SKT 공유기의 포트포워딩 설정만 제대로 하면 전 세계 어디서나 여러분의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복잡해 보이는 네트워크 설정을 단계별로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포트포워딩 설정 전 필수 준비사항

포트포워딩 설정에 앞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정보들이 있습니다. 이 과정을 생략하면 나중에 설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내 컴퓨터 IP 주소 확인하기

Windows 사용자의 경우:윈도우 키 + R을 동시에 눌러 실행 창을 열고, cmd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릅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열리면 ipconfig를 입력하세요. 결과 화면에서 IPv4 주소를 찾아 메모해두시면 됩니다. 보통 192.168.xx.x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macOS 사용자의 경우: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Wi-Fi 또는 이더넷을 선택하고 IP 주소 항목을 확인합니다.

SKT 공유기 접속 주소 파악하기

SKT 공유기는 모델에 따라 관리자 페이지 접속 주소가 다릅니다.
가장 일반적인 주소부터 순서대로 시도해보세요:

  • 192.168.45.1 (가장 많이 사용)
  • 192.168.55.1 (H614G 등 일부 모델)
  • 192.168.75.1 (DASAN H660NB 등)


단일 공유기 환경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SKT 공유기 하나만 사용하는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설정 방법입니다.

SKT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위에서 확인한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면 다음 정보를 입력하세요:

  • 아이디: admin
  • 비밀번호: 유선 MAC 주소 끝 6자리 + _admin

비밀번호 찾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공유기 뒷면 스티커에서 "유선 MAC" 항목을 찾아 마지막 6자리 숫자를 확인하고, 뒤에 _admin을 붙입니다. 예를 들어 MAC 주소가 AA:BB:CCD:4D:CC98라면 비밀번호는 4DCC98_admin이 됩니다.

포트포워딩 규칙 추가

로그인 후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딩 메뉴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새로운 포트포워딩 규칙을 추가해야 합니다.

각 항목별 설정 방법:

  • 규칙 이름: 나중에 구분하기 쉬운 이름 (예: 마인크래프트_서버)
  • 내부 IP 주소: 앞서 확인한 컴퓨터의 IPv4 주소
  • 프로토콜: 대부분의 게임은 TCP 선택
  • 외부 포트: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용할 포트 번호
  • 내부 포트: 게임 서버가 실제로 사용하는 포트 번호

주요 게임별 포트 번호:

  • 마인크래프트 자바 에디션: 25565
  •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19132 (UDP)
  • 테라리아: 7777
  • ARK: 7778, 27015
  • 원격 데스크톱: 3389


이중 공유기 환경 해결 방법

SKT 모뎀과 개인 공유기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두 가지 방법 중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세요.

방법 1: 브릿지 모드 설정 (권장)

브릿지 모드가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SKT 모뎀의 라우터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개인 공유기만 네트워크를 관리하도록 설정합니다.

SKT 모뎀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한 후, 네트워크 설정 → 운용 모드Bridge로 변경합니다. 설정을 저장하고 모뎀을 재부팅하면 완료됩니다.

주의할 점: 브릿지 모드 설정 후에는 SKT 모뎀 관리자 페이지에 더 이상 접속할 수 없습니다. 다시 접속하려면 모뎀을 초기화해야 합니다.

방법 2: 이중 포트포워딩

브릿지 모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두 단계로 나누어 포트포워딩을 설정합니다:

  1. 1단계: SKT 모뎀에서 개인 공유기 IP로 포트포워딩
  2. 2단계: 개인 공유기에서 실제 서버 컴퓨터 IP로 포트포워딩

이 방법은 설정이 복잡하지만, 기존 네트워크 구성을 유지하면서 포트포워딩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설정 완료 후 테스트 방법

포트포워딩 설정을 완료했다면 반드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온라인 포트 체크 도구 활용

https://www.yougetsignal.com/tools/open-ports/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여기서 공인 IP 주소와 설정한 포트 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Success" 또는 "Open" 메시지가 표시되면 포트포워딩이 정상적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공인 IP 주소 확인 방법

네이버나 구글에서 "내 아이피" 또는 "내 IP"를 검색하거나,

http://ipconfig.co.kr/ 사이트에 접속하면 현재 공인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IP 주소를 친구들에게 알려주면 외부에서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가이드

포트포워딩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확인해볼 사항들입니다.

Windows 방화벽 설정 확인:
Windows Defender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와 프로그램이 허용 목록에 있는지 확인하세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Defender 방화벽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 변경 여부 확인:
컴퓨터를 재부팅하거나 네트워크 연결을 다시 하면 내부 IP 주소가 바뀔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이 갑자기 안 될 때는 IP 주소부터 다시 확인해보세요.

게임 서버 상태 점검:
포트포워딩보다 게임 서버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접속이 되는지 먼저 확인해보세요.

포트포워딩은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 것이므로, 보안에 주의해야 합니다. 꼭 필요한 포트만 열고, 게임을 하지 않을 때는 서버를 종료하는 습관을 기르시기 바랍니다.

©YozmBlog
koenjaesfr